분류 전체보기 64

근대와 현대가 만나는 공간: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과 환구단 역사 여행

1.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근대 역사와 현대 미술의 만남덕수궁 내 석조전과 그 옆에 위치한 석조전 서관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품은 건축물이다. 석조전은 고종 황제가 근대적 국가로서 대한제국의 위상을 시각적으로 드러내고자 1900년대 초 착공한 서양식 석조건물이며, 서관은 1938년 완공되어 ‘이왕가미술관’으로 개관하여 조선 왕실 문화재를 전시하였다. 일제강점기 식민 통치와 문화 정책의 산물이기도 한 이 공간은 오늘날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으로 새롭게 단장되어 한국 근대미술의 중심 전시장으로 거듭났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은 서울 중심부의 역사적 공간에 자리 잡아,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독특한 문화적 장을 제공한다. 전시 공간으로서의 덕수궁관은 구한말, 일제강점기, 광복 직후 시기까..

환구단 이야기 2025.08.11

서울 속 작은 세계 – 정동과 주변 외국 공관 거리

1. 표현 방식 속 외교의 거리19세기 말, 한양의 서쪽 변두리에 위치한 작은 마을 정동(貞洞)은 불과 수십 년 만에 조선의 국제 외교 중심지로 급격히 변모했다. 덕수궁을 둘러싼 돌담길을 따라 걷다 보면, 전통 한옥과 기와지붕 대신 붉은 벽돌과 첨탑, 아치형 창문을 갖춘 서양식 건물들이 곳곳에 모습을 드러냈다. 마치 서울 한복판에 유럽과 미국의 도시 일부가 옮겨온 듯한 이질적인 풍경이었다. 당시 기록과 사진 자료에 따르면, 정동 일대에는 러시아 공사관의 붉은 벽돌과 탑이 인상적이었고, 영국 공사관 등은 유럽식 건축 양식을 띠었다. 미국 공사관저의 경우 초기에는 현지 한옥(목조 가옥)을 매입해 사용했으며, 이후 점차 서구식 요소가 가미된 건물로 변화해 갔다. 이러한 건축 양식의 혼재는 단순한 미관의 변화가..

환구단 이야기 2025.08.10

덕수궁과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1. 경운궁(慶運宮)에서 덕수궁(德壽宮)으로: 환구단의 여파와 황궁의 재배치1897년 환구단에서 대한제국이 선포되고 고종은 황제로 즉위하며 조선 왕조를 넘어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선언했다. 이는 동아시아에서 일본, 청나라 등 강대국 사이에서 조선이 자주국으로서 위상을 요구하는 중대한 정치적 사건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칭호 변경을 넘어 국가 주권과 근대화를 향한 의지의 표출이었다. 고종은 1896년 아관파천 당시 러시아 공사관으로 임시 거처를 옮겼다가, 1897년 돌아와 경운궁을 황궁으로 삼았다. 경운궁은 원래 조선 후기의 작은 궁궐이었으나, 정동 일대에 자리 잡아 당시 근대 외교의 중심지와 가까웠다. 이에 따라 고종은 경운궁을 ‘근대 국가의 얼굴’로 만들고자 궁궐 내에 서양식 서재와 근대적 사무공..

환구단 이야기 2025.08.09

환구단에서 정동까지 – 근대 서울 역사 여행 코스

1. ‘제국’의 공간, 환구단에서 역사를 만나다지난 30편에서 우리는 ‘제국’이라는 말이 근대 한국 사회에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 그 낯설고도 강력한 단어가 조선 말기에서 대한제국 선포를 통해 어떤 변화를 불러왔는지 살펴보았다. ‘제국’은 단순한 명칭을 넘어 당시 동아시아의 힘의 균형 속에서 새롭게 등장한 근대 국가의 정체성을 의미했다. 특히 이 개념은 고종 황제가 환구단에서 거행한 황제 즉위식이라는 상징적 공간을 통해 현실로 구현되었다. 환구단은 1897년 10월 12일 대한제국 황제 즉위식을 거행한 장소로, 당시 세계열강과 어깨를 나란히 하려는 고종의 의지가 함께 담긴 근대 국가의 출발점이었다. 이곳은 단순히 제사를 지내던 제단을 넘어서 근대 국가로서 새로운 자존과 위상을 세상에 선포한 상징적 공간이..

환구단 이야기 2025.08.08

‘제국’이라는 말이 낯설었던 사람들 – 언어와 용어 수용의 역사

1. 새로운 말들, 낯선 개념 – 용어 변화가 시작되다1897년 10월 12일, 환구단에서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며 대한제국이 선포되었다. 이로써 정치 체제는 물론이고, 공식 용어 체계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기존에 사용되던 ‘왕’이라는 호칭은 ‘황제’로 대체되었으며, ‘전하’는 ‘폐하’로 바뀌었다. 조선이라는 국호도 대한으로 변경되어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언어로 명확히 표현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명칭 변경을 넘어 대한제국이 자주 독립국임을 천명하는 상징적 의미가 컸다. 관보와 법령, 외교문서 등에서 '황제 폐하의 칙명으로', ;칙령 제○호', '대한제국 황제의 탁지부'와 같은 공식 표현이 빠르게 확산하였다. 갑오개혁을 통해 이미 사용되던 ‘외부’, ‘내부’, ‘탁지부’, ‘군부..

환구단 이야기 2025.08.07

제국 선포 이후의 공간 변화 : 시각적·행정적 재편

1. 환구단, 공간 전환의 기점이 되다1897년 10월 환구단에서 대한제국의 수립이 공식적으로 선포되면서, 단순한 정치 체제의 변화만이 아니라 국가의 공간 질서에도 중대한 전환이 일어났다. 환구단은 그 자체로 ‘천제(天祭)’를 통해 하늘의 뜻을 받들어 황제가 통치 정당성을 부여받는 장소로 기능했다. 즉위식과 제천의식이 함께 거행된 이 공간은 기존 유교적 제례 체계와는 명백히 구분되는 제국적 공간으로 재해석되었다. 그동안 종묘와 사직, 문묘 등 유교적 정치 질서의 공간이 조선 왕조의 통치 이념을 상징했다면, 환구단은 황제국 체제의 정통성과 우주적 권위를 상징하는 새로운 축으로 떠오른 것이다. 이후 환구단은 제례 공간으로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황제의 권위가 시공간적으로 드러나는 상징적 무대로 자리 잡았다...

환구단 이야기 2025.08.06

대한제국 선포 이후의 국내 담론 – 지식인과 시민사회의 반응

1. 독립협회, 대한제국 수립을 자주독립의 상징으로 해석하다1897년 10월 고종이 환구단에서 황제로 즉위하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선언하자, 독립협회는 이를 자주독립 국가 수립의 상징으로 강하게 지지했다. 독립협회는 1896년 창립 이래 『독립신문』을 통해 조선이 청의 제후국 체제를 벗어나 ‘황제 중심의 자주국’으로 전환했음을 반복적으로 전파하였고, 이는 독립협회의 정치·사회적 목표와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독립신문』은 '대한(大韓)'이라는 국호가 고대 삼한의 역사 위에 새로운 자주 정체성을 부여한다고 강조했으며, 황제 즉위는 외교적 독립을 대내외에 천명하는 정치적 선언으로 해석되었다. 단순한 호칭 변경이 아니라, 국가의 주권과 정체성을 새롭게 구축하는 중대한 전환점으로 본 것이다. 특히 이들은 대한제국..

환구단 이야기 2025.08.05

대한제국의 상징들: 황제·국호·연호·깃발에 담긴 의미

1. 제국의 언어를 구성하다: ‘대한제국’ 국호와 ‘광무’ 연호의 의미1897년 10월 12일, 환구단에서의 제천의례를 통해 고종은 대한제국의 황제로 즉위하고 국호를 ‘조선(朝鮮)’에서 ‘대한(大韓)’으로 바꾸었다. 이는 단순한 명칭 변경이 아니라 정치적·외교적 선언이었다. ‘대한(大韓)’이라는 명칭은 한반도의 삼한(三韓)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외세의 침탈 속에 주권을 수호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담고 있었다. 국호 변경은 청나라와의 사대관계를 명시적으로 단절하는 의미였다. 조선은 500년 가까이 ‘왕국’ 지위에 머물렀고, 황제 칭호는 명·청 이외의 군주가 스스로 칭할 수 없었다. 고종의 국호 변경은 청에 대한 종속 관계를 명확히 청산하고, 국제법상 자주국임을 대외에 천명하는 정치적 표현이었다. 이는 바..

환구단 이야기 2025.08.04

제국의 탄생, 외신과 외교문서로 본 반응

1. 제국 선포, 외신과 외교기관의 첫 반응1897년 10월 12일, 고종은 환구단에서 제천의례를 거행하고 대한제국의 황제로 즉위함으로써, 새로운 국가체제의 탄생을 대내외에 공표했다. 이는 단지 국호와 연호를 바꾸는 수준을 넘는 정치적 선포였으며, 당대 세계 각국의 언론과 외교기관도 이에 주목했다. 고종의 제천의례 직후 대한제국의 수립은 『The Independent』, 『The Korean Repository』, 『The New York Times』와 같은 당대 외신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보도되었다. 특히 서울 주재 외국인 거주자와 선교사들이 주필로 참여하던 『The Korean Repository』는 황제 즉위와 관련된 국내외 반응을 상세히 기록했으며, 고종의 정치적 결단을 '조선의 주권적 의지의 ..

환구단 이야기 2025.08.03

고종은 왜 대한제국을 선포해야 했는가

1. ‘황제 즉위’의 꿈은 언제 시작되었는가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은 조선의 역사에서 가장 중대한 정치적 전환점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국 선언’은 하루아침에 결정된 것이 아니었다. 그 배경에는 조선 후기의 왕권 약화, 국제 정세의 격동, 그리고 고종 개인의 정치적 이상과 고뇌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고종은 이미 임오군란(1882)과 갑신정변(1884), 갑오개혁(1894~1895) 등을 거치며 외세의 간섭 속에서 왕권의 지속을 고민해 왔다. 특히 1895년 명성황후가 일본 낭인에 의해 시해되는 ‘을미사변’ 이후, 고종은 일본에 대한 극도의 불신과 공포를 갖게 되었고, 이는 왕권 강화를 통한 체제 수호의 강한 동기로 작용하였다. 1896년 아관파천으로 러시아 공사관에 머문 고종은 국제..

환구단 이야기 2025.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