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 5

서울 속 작은 세계 – 정동과 주변 외국 공관 거리

1. 표현 방식 속 외교의 거리19세기 말, 한양의 서쪽 변두리에 위치한 작은 마을 정동(貞洞)은 불과 수십 년 만에 조선의 국제 외교 중심지로 급격히 변모했다. 덕수궁을 둘러싼 돌담길을 따라 걷다 보면, 전통 한옥과 기와지붕 대신 붉은 벽돌과 첨탑, 아치형 창문을 갖춘 서양식 건물들이 곳곳에 모습을 드러냈다. 마치 서울 한복판에 유럽과 미국의 도시 일부가 옮겨온 듯한 이질적인 풍경이었다. 당시 기록과 사진 자료에 따르면, 정동 일대에는 러시아 공사관의 붉은 벽돌과 탑이 인상적이었고, 영국 공사관 등은 유럽식 건축 양식을 띠었다. 미국 공사관저의 경우 초기에는 현지 한옥(목조 가옥)을 매입해 사용했으며, 이후 점차 서구식 요소가 가미된 건물로 변화해 갔다. 이러한 건축 양식의 혼재는 단순한 미관의 변화가..

환구단 이야기 2025.08.10

[환구단과 정동 공간사⑦] 정동의 길, 제국의 질서

1. 정동의 탄생과 근대도시 질서의 전환점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정동 일대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외교·정치·종교·교육 시설이 집중되면서 근대 도시공간으로서의 성격을 갖추기 시작했다. 이 변화는 단순한 건축 양식의 전환이나 서구식 제도 도입 차원을 넘어, 기존의 봉건적 도시구조를 해체하고 새로운 도시 질서를 시도한 시발점이었다. 전통적인 한양 도성은 종묘, 사직, 경복궁을 중심으로 ‘유교적 정치 공간’으로 설계되었으나, 정동은 이와 다른 궤도에서 성립되었다. 정동 일대는 1880년대 중반부터 미국·러시아 등 외국 공사관이 속속 들어서기 시작했다. 1885년에는 아펜젤러가 배재학당을, 같은 해 10월에는 정동제일교회를 창립했고 1886년에는 이화학당이 설립되면서 정동은 ‘근대 교육 기능의 중심지’로..

환구단 이야기 2025.07.31

[환구단과 정동 공간사④] 현대적 재해석과 도시재생 과제

1. 서울 도심 속 역사 공간, 환구단과 정동 권역의 현재 위치와 의미대한제국기의 자주성과 근대국가 건설 의지를 상징했던 환구단과 정동 권역은 오늘날 서울 도심 한복판에 자리하며 복잡한 역사와 도시 환경의 교차점에 놓여 있다. 1913년 환구단의 원형 제단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조선호텔이 들어서면서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기능은 급격히 상실되었고, 이후 공간은 상업시설과 민간 소유지로 전환되었다. 정동 권역 역시 일제강점기 동안 철저한 감시와 통제를 받으며 원래의 외교·교육·종교 기능이 봉쇄된 채 변화의 길을 걸었다. 현대 서울에서 환구단과 정동은 물리적 흔적이 일부 남아 있지만, 일반 시민에게는 역사적 기억이 희미한 공간으로 남아 있다. 그럼에도 이 권역은 단순한 유적지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바로 서울이..

환구단 이야기 2025.07.28

[환구단과 정동 공간사③] 해체와 재기억 –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1. 일제의 권역 해체 전략: 물리적 해체와 상징의 말살1900년대 이후 일제는 대한제국의 상징 공간을 체계적으로 해체했다. 특히 정동과 환구단 권역은 고종의 정치·외교·문화 전략이 집약된 장소로서 일제의 우선적 통제 대상이 되었다. 일제는 환구단의 원형 제단을 1913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조선호텔을 건립함으로써 제국 통치의 공간을 물리적으로 말살하고, ‘천자국’ 대한제국의 상징을 일상에서 지워냈다. 이는 단순한 개발 사업이라기보다는, 대한제국의 상징적 의례였던 천제 의식을 무력화하고 그 기억을 지우기 위한 의도적 기획이었다. 이와 함께 중명전은 궁내부 소속 공간에서 일본 통감부의 행정 관할로 넘어가며 외교의 전초기지라는 기능을 박탈당했다. 정동교회와 배재학당 등 서양 세력과의 연계 지점 역시 일본의 ..

환구단 이야기 2025.07.27

[환구단과 정동 공간사①] ‘환구단 권역’의 형성과 대한제국기 공간구조

1. 정동, 대한제국의 전략 거점으로 떠오르다대한제국 선포 전후, 고종은 러시아공사관에서 덕수궁으로 돌아와 정동 일대를 새로운 권력의 중심지로 삼았다. 이는 단순한 궁궐의 이동이 아니라, 외교·정치·종교 기능이 복합된 새로운 국가 운영 시스템의 공간 전략이었다. 정동 일대에는 러시아·영국·프랑스·미국 등 열강의 공사관이 밀집해 있었고, 고종은 이들과의 외교 교섭을 통해 일본의 압박을 견제하려 했다. 특히 1897년 환구단의 건립은 단순한 제사 공간 조성을 넘어, 천제(天祭)를 통한 하늘에의 자주 선언하는 상징적 행위였다. 정동과 환구단은 ‘국제 외교전의 최전선’과 ‘제국의 정당성 선언 공간’이라는 복합적 정치 공간을 갖추며 대한제국의 권위와 의지를 집약했다. 환구단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고종의 정치..

환구단 이야기 2025.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