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천의례의 연속성과 재해석제천의례는 한 시기만의 산물이 아니라 우리 역사를 관통하는 보이지 않는 맥락입니다. 고대의 부족 제사부터 근대의 황제 즉위식까지, 겉모습은 달라도 그 뿌리는 하나였습니다. 중요한 점은 단절처럼 보이던 시기조차 사실은 새로운 해석과 변형의 시간이었고, 그래서 제천은 늘 살아 있는 전통이었습니다. 고대 제천은 생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례였습니다. 공동체는 춤과 노래로 수확의 기쁨을 나누고, 갈등을 유예하며, 새로운 질서를 합의했습니다. 중세에 들어서면서 제천은 왕권과 정치적 정당성을 보강하는 장치로 변모했습니다. 고려의 원구제와 팔관회는 권위와 축제를 병행하며 공동체를 결속시켰습니다. 조선에서는 성리학적 질서 때문에 환구단 의례가 제도화되지 못했지만, 대신 종묘·사직 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