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동의 탄생과 근대도시 질서의 전환점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정동 일대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외교·정치·종교·교육 시설이 집중되면서 근대 도시공간으로서의 성격을 갖추기 시작했다. 이 변화는 단순한 건축 양식의 전환이나 서구식 제도 도입 차원을 넘어, 기존의 봉건적 도시구조를 해체하고 새로운 도시 질서를 시도한 시발점이었다. 전통적인 한양 도성은 종묘, 사직, 경복궁을 중심으로 ‘유교적 정치 공간’으로 설계되었으나, 정동은 이와 다른 궤도에서 성립되었다. 정동 일대는 1880년대 중반부터 미국·러시아 등 외국 공사관이 속속 들어서기 시작했다. 1885년에는 아펜젤러가 배재학당을, 같은 해 10월에는 정동제일교회를 창립했고 1886년에는 이화학당이 설립되면서 정동은 ‘근대 교육 기능의 중심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