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재학당 2

[환구단과 정동 공간사②] 정치성과 이데올로기-대한제국기의 '권역 전략'

1️⃣ 정동, 외교와 권력의 경계선정동 일대는 단순한 행정·문화 지역이 아닌, 국제 외교와 제국 권위의 경계 지대였다. 이곳은 19세기 말부터 외국 공사관들이 집중되면서 '외교의 길목'이 되었고, 고종은 이를 적극 활용하여 열강과의 외교전 속에서 정치적 생존을 모색했다. 러시아 공사관과 미국 공사관이 나란히 자리한 거리, 그 틈에 위치한 정동교회와 배재학당, 그리고 중명전과 덕수궁은 그 자체로 대한제국의 권역 전략이 얼마나 외교 지형에 의존하고 있었는지를 드러낸다. 정동은 내정(內政)과 외교가 만나는 실질적 경계 공간이었고, 대한제국은 이 공간을 통해 자신이 근대 국제질서의 일부임을 강변하고자 했다. 2️⃣ 외교 공간으로서의 중명전: 제국 외교의 전초기지1901년 덕수궁 화재 이후 고종은 중명전을 거처로..

환구단 답사기 2025.07.26

[환구단과 정동 공간사①] ‘환구단 권역’의 형성과 대한제국기 공간구조

1️⃣ 정동, 대한제국의 전략 거점으로 떠오르다대한제국 선포 전후, 고종은 러시아공사관에서 덕수궁으로 돌아와 정동 일대를 새로운 권력의 중심지로 삼았다. 이는 단순한 궁궐의 이동이 아니라, 외교·정치·종교 기능이 복합된 새로운 국가 운영 시스템의 공간 전략이었다. 정동 일대에는 러시아·영국·프랑스·미국 등 열강의 공사관이 밀집해 있었고, 고종은 이들과의 외교 교섭을 통해 일본의 압박을 견제하려 했다. 특히 1897년 환구단의 건립은 단순한 제사 공간 조성을 넘어, 천제(天祭)를 통한 하늘에의 자주 선언하는 상징적 행위였다. 정동과 환구단은 ‘국제 외교전의 최전선’과 ‘제국의 정당성 선언 공간’이라는 복합적 정치 공간을 갖추며 대한제국의 권위와 의지를 집약했다. 환구단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고종의 정..

환구단 답사기 2025.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