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문화유산 2

[환구단과 정동 공간사④] 현대적 재해석과 도시재생 과제

1️⃣ 서울 도심 속 역사 공간, 환구단과 정동 권역의 현재 위치와 의미대한제국기의 자주성과 근대국가 건설 의지를 상징했던 환구단과 정동 권역은 오늘날 서울 도심 한복판에 자리하며 복잡한 역사와 도시 환경의 교차점에 놓여 있다. 1913년 환구단의 원형 제단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조선호텔이 들어서면서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기능은 급격히 상실되었고, 이후 공간은 상업시설과 민간 소유지로 전환되었다. 정동 권역 역시 일제강점기 동안 철저한 감시와 통제를 받으며 원래의 외교·교육·종교 기능이 봉쇄된 채 변화의 길을 걸었다. 현대 서울에서 환구단과 정동은 물리적 흔적이 일부 남아 있지만, 일반 시민에게는 역사적 기억이 희미한 공간으로 남아 있다. 그럼에도 이 권역은 단순한 유적지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바로 서울..

환구단 답사기 2025.07.28

환구단이란 무엇인가: 하늘과 소통하던 제단

서울 도심에 숨겨진 천제의 흔적을 찾아서 1️⃣ 천제를 지내던 제단, ‘환구단’의 정의와 기원환구단(圜丘壇)은 조선 후기, 특히 대한제국 시기 고종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만든 제단이다. ‘환구’는 ‘둥근언덕’이라는 뜻을 지니며, 이는 동아시아 전통 우주관에서 비롯된 개념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는 형이상학적 관념이 널리 퍼져 있었고, 이로부터 환구단의 건축 철학도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사상은 단순한 공간 설계의 문제가 아니라, 하늘과 인간, 제왕과 백성, 우주와 정치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설명해 주는 하나의 통치 철학이었다. 고종 황제는 1897년, 조선의 국호를 버리고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환구단을 건립했다. 이는 단지 새로운 제단을 세운 것이 아니라, ..

환구단 답사기 2025.07.14